FIRE vs YOLO
비상금은 아주 긴급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따로 모아두는 돈으로 초보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준비해두어야 한다. 요즘 재테크 사이트나 책을 보면 종자돈(목돈) 마련을 위해 월급의 80~100% 저축 도전이라는 말까지 꺼내며 소비를 줄이고 저축할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모든 것은 사람에 따라 균형있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된다.
초보직장인이라면 더욱 이 부분이 중요하다. 2008년 이후 미국에서 유행하는 FIRE운동은 이론은 완벽해 보이지만 20~30대시절에 극단적인 절약으로 아름다운 시절에 누려야 하는 즐거움과 추억을 누릴 시기를 놓쳐 후회할 수도 있게 된다.
(파이어족: 30대 말이나 늦어도 40대 초반까지는 조기 은퇴하겠다는 목표로, 회사 생활을 하는 20대부터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며 은퇴 자금을 마련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렇다고 하여 반대로 흥청망청 다 써버리고 절약이 전혀 없는 것도 문제이다. FIRE와 반대되는 느낌의 욜로(YOLO)는 ‘인생은 한 번뿐이다’를 뜻하는 You Only Live Once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현재 자신의 행복을 가장 중시하여 소비하는 태도를 말한다. 즉 미래 또는 남을 위해 희생하지 않고 현재의 행복을 위해 소비하는 라이프스타일이다.
어느 것이 중요하고 좋다를 따지기 보다는 중요한 것은 균형(balance)있는 삶을 사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초보직장인의 비상금 수준은?
비상금 금액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또 전문가마다 각각 다른 의견이 많다. 나는 개인적으로 자신의 월급의 3배에 해당하는 금액은 비상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장 큰 이유는 만일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3개월 정도 휴직을 하더라도 버틸 수 있는 금액이라는 생각때문이다. 꼭 직장을 잃지 않더라도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갑자기 현금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렇다하여 열심히 모아둔 적금이나 보험을 깨는 것은 현명하지 않은 생각이다.
대학을 졸업하여 갓 직장인이라면 고정적으로 나가는 월세, 식비, 교통비, 용돈 등을 제외하고 남는 돈은 적금에 드는 것보다는 우선 비상금통장을 만들어 모아두자. 목돈 마련을 위한 적금이나 정기예금, 미래보장을 위한 보험은 비상금을 모은 후 시작해도 늦지 않다.
비상금 통장은 일반예금보다는 하루를 모아도 이자를 주는 CMA통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요즘은 카카오뱅크, 토스, 사이다 등의 파킹통장도 인기있는데 입출입이 자유로우며 2%대의 괜찮은 이자를 제공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 주행가능거리가 0km, --km가 뜬다면?(무료 긴급 출동 서비스) (0) | 2020.04.01 |
---|---|
오케이캐쉬백 포인트 적립, '오퀴즈'보다 '헤이풀'이 더 좋다.(솔직후기) (0) | 2020.03.30 |
고효율 가전제품 구입 10% 환급 대상 가전제품 및 신청방법은? (0) | 2020.03.25 |
SNS핫플레이스 커피숍(카페)들의 이유있는 공통점 3가지 (0) | 2020.03.16 |
서울시에서 알려주는 심리 방역을 위한 마음의 백신 7가지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