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나에게 적합한 개인연금 찾는 방법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장수화가 되면서 은퇴 후 근로소득이 없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은퇴이후 안정된 삶을 위해 개인 스스로의 개인연금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연금'에 대해 검색해 봤다.

연금(, annuity)이란 일정 연수, 수명 또는 영구기간에 걸쳐서 매년 또는 어떤 규칙적 간격을 두고 행하여지는 지급을 말하는 것으로 일시금 지급과 대비된다. 

결정된 연수에 계속되는 연금을 확정연금이라 하고 지불이 계속되는 기간이 고정되지 않은 연금을 불확정연금이라 한다. 

연금은 타인을 위해서도 또 자기를 위해서도 설정된다. 자기자신을 위하여 설정된 연금이 보다 일반적 형태이며 국가 혹은 제도적으로 지급되는 연금은 pension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그렇다면, 나에게 적합한 개인연금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해당 글은 '맘마미아 월급 재테크' 책의 나에게 적합한 개인연금 찾기 4단계에서 일부 인용했습니다.)

 

1단계: 세제 혜택 여부를 결정한다.

먼저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을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연말정산 때 세금환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라면 연금보험보다 연금저축을 선택하여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연말정산 환급금은 연말저축에 추가납부하여 더 많은 세금을 되돌려받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연금저축보다는 연금보험을 선택하여 보험차익과 비과세 혜택을 노려보는 것이 좋다.

 

2단계: 투자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한다.

세제혜택을 선택했다면, 그 이후는 본인의 투자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앞서 연금저축을 선택했고 본인의 투자성향이 공격투자형이라면 연금저축펀드를, 안정추구형이라면 연금저축신탁 또는 연금저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만일 연금보험이고 본인의 투자성향이 공격투자형이라면 변액연금보험, 안정추구형이라면 일반연금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3단계: 납입방법, 연금 지급방식을 결정한다.

연금저축은 납입방법을 자유적립식 또는 정액적립식 중 결정하고, 연금보험은 납입방법을 적립식형 또는 거치식형 또는 즉시형 중 결정하면 된다. 연금지급방식은 종신형, 확정형, 상속형 중 결정하되 자신의 성향에 맞게 선택한다.

 

4단계: 믿을만한 연금 운용기관을 선택한다.

수익률, 수수료율, 재무안정성, 고객만족도 등을 고려하여 믿을 수 있는 운용기관을 선택한다. 해당 정보는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등의 연금저축통합공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