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유튜버 김작가TV에서 존 리와 인터뷰한 영상의 내용을 일부 정리했습니다. 전체 내용은 해당 영상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존 리는 현재 메리츠 자산운용의 대표이사로 최근 '존 리의 부자 되기 습관'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옥시의 전 대표와는 동명이인으로 다른 사람입니다.)
그에 대한 프로필을 검색해봤다.(출처: 네이버 책)
존 리
메리츠 자산운용 대표이사
한국명은 이정복이다.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았던 수익률 최하위 회사를 취임 2년 만에 선두그룹 회사로 탈바꿈시키면서 금융투자업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메리츠 자산운용사의 대표다. 80년대 초 연세대 경제학과를 자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대(New York University) 회계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KPMG의 전신인 피트마윅(Peat Marwick)에서 회계사로 일하다, 미국 투자회사인 스커더 스티븐스 앤드 크락(Scudder Stevens & Clark)으로 옮겨 코리아펀드를 운용하면서 월가의 스타 펀드매니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1984년에 설립된 코리아펀드는 한국시장에 투자한 최초의 뮤추얼펀드로, 당시 저평가된 한국의 주식들을 사들여 장기투자를 통해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1984년 상장 당시 600억 원이던 자산이 2005년 존 리 대표가 사임할 당시에는 1조 5천억 원으로 성장했다. 2005년 라자드 에셋 매니지먼트(Lazard Asset Management)로 자리를 옮긴 뒤에는 장하성 펀드로 알려진 한국기업 지배구조 펀드를 운용하면서, 국내 증시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그의 프로필도 대단하기는 하지만 인터뷰에서 알 수 있는 그의 부자에 대한 생각과 투자, 돈에 대한 생각은 더욱 본받을 부분이 많은 것 같다. 그중 몇 가지를 적어봤다.
우리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1. 사교육비
서울 유명 사교육비로 매월 200 ~ 300만 원이 나가기도 한다. 낭비하지 말고 그 돈으로 사교육비로 투자를 하라.
2. 부자처럼 보이려고 하는 라이프 스타일
요즘 소비문화, 욜로, 자가용 자동차 등을 다 누리면 부자가 되기 어렵다. 자동차를 끊으면 70~80만 원의 비용이 생긴다. 그 돈으로 투자를 하라. 인스타 등 SNS를 하면 비싼 식당에 가야 한다. 유명한 부자들은 자동차에 투자하지 않는다.
부자처럼 보이려고 하지 말고 실제 부자가 돼라.
부자란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사람이다. 돈 때문에 은퇴를 하지 못하거나 누구를 도와줄 수 없다거나 아픈데 병원에 가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Finacial Freedom 즉 돈의 불편함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우리나라 노인 자살률은 세계 1~2위 수준이다. 노후의 경제 위기를 감지하지 못하고 자녀에게 모두 투자하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은 13세까지 자녀 양육이 끝나며, 그 이후 결혼, 취업은 다 자녀들이 준비한다.
돈에 대한 생각의 혁명이 필요하다.
은퇴자금 마련에 대한 4% 룰
미국에서는 은퇴자금 마련에 대한 4% Rule이 있다고 한다. 바로 은퇴자금 인출 4%의 법칙이다. 나의 노동력으로 돈을 벌 수 없는 시기가 올 경우 이후 노후에는 얼마의 돈이 필요할까? 바로 그때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의 4%가 이후 매년 내가 쓸 수 있는 돈이 됨. 60세까지 모을 수 있는 돈을 역으로 계산하여 미리 준비해야 한다. 지금부터 30년 뒤면 은퇴자금이 최소 약 20 ~ 25억 원의 돈이 필요하게 된다. 투자를 하지 않고 돈을 모으기 어렵다.
가난한 사람들은 이유가 있다. 대부분 돈을 함부로 사용한다. 소확행에 속으면 안 된다. 소확행을 이겨내야 한다. 그렇다고 지금의 행복을 포기하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돈을 쓰는 행복 대신 돈을 모으는 행복을 누려라.
신용카드를 없애고 대신 체크카드를 사용하라. 신용카드는 나의 부를 갉아먹는다. 여유자금은 돈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만들어야 한다. 남는 돈으로 여유자금을 만들면 안된다.
이케아 창업자, '부자가 되려면 나를 불편하게 하라'. 한 번도 여행 시 비즈니스 클래스를 탄 적이 없다.
주식투자의 비중은? 존 리는 수입의 70% 정도를 주식에 투자한다.
우리나라 부동산 투자는 10 ~ 20년 안에 가랑비 젖듯이 천천히 거품이 빠질 것이다. 30억짜리 아파트를 사지 말고 대신 저렴한 아파트를 사고 나머지 금액으로 투자를 하라.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7일 밝힌 경남형 긴급재난소득 신청방법 및 지원내용 (0) | 2020.04.08 |
---|---|
긴급재난지원금 전국민에게 지급, 과연 실현될까? (0) | 2020.04.07 |
애매한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기준, 하위소득 70% (0) | 2020.03.31 |
경남형 긴급재난소득 신청방법, 신청대상자(중위소득) 확인방법 (0) | 2020.03.24 |
주가폭락에도 매수를 이어가는 개미들의 심리는 뭘까? (0) | 2020.03.23 |